월간 방송과기술

대한민국 유일의 방송기술 전문지

방송과기술 소개/연혁
1988 07 ‘방송기술인’ 이라는 제호로 창간
1~5호 까지는 순수한 회원친목을 위해 발행
1989 05 ‘방송기술인’에서 ‘放送機術人’으로 제호 변경.
1988년 5월 6호부터 방송장비광고를 추가하고, 지면을 대폭 넓혀 기술정보면을 강화.
격월간지로 전문성 강화
1992 05 24호부터 ‘放送機術人’에서 ‘방송과기술’로 제호 변경
방송기술이 방송이라는 큰 틀에 융화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
1996 05 표지 및 내지디자인 변경
1999 07 대대적인 내용 개편작업을 거쳐 페이지, 주제 세션 증가
2003 07 91호부터 ‘방송과기술’ 월간화, 제호디자인 변경
내용의 신속한 전달을 위해 격월간지에서 월간지로 단행
2004 04 100호 발행
온라인을 통해 기사검색과 다양한 정보 제공
2007 01 홈페이지를 통해 ‘방송과기술 PDF’ 제공 시작
2008 01 표지 및 내지디자인 변경
2009 01 157호부터 전면컬러화, 판형 변화 및 디자인 변경,
전국 대형 유통서점판매 실시
2012 01 내용 개편. 방송계 동향과 문화면 보강으로 회원사의 새소식과 인물 위주의 친근한 느낌 강조
/ 편집장 : 신일수 (EBS)
2012 08 200호 발행
2014 01 217호 발행, 표지 및 내지디자인 변경 / 편집장 : 최기창
2017 01 표지 및 내지디자인 변경, 일부 세션 추가, 통권 253호 발행
/ 편집장 : 이정택
2018 08 창간 30주년 기념 표지 이미지 진행, 통권 272호 발행
/ 편집장 : 최권용
2019 01 판형 및 표지 · 내지디자인 변경, 광고/내지 종이 변경, 카테고리 순서 변경, 구독료 인상(1년 구독 : 9만원)
2022 01 표지 · 내지디자인 변경 (회원사 방송국 이미지로 표지 디자인화)
/ 편집장 : 김성관
역대 방송과기술 편집장
14대 조영준
15대 조성도
16대 김종기
17대 김호식
18대 정효성
19대 신일수
20대 최기창
21대 이정택
22대 최권용
23대 송주호
24대 김성관
편집장 인사말

계묘년 새해, 새롭게 도약하는 ‘방송과기술’이 되겠습니다

 

김성관 방송과기술 편집장
김성관 방송과기술 편집장

월간 ‘방송과기술’ 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2022년 임인년(壬寅年)이 가고 새로운 희망의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 아침이 밝았습니다.
2022년은 그 어느 해보다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습니다. 코로나19의 위기가 아직 채 가시지 않았지만 많은 행사가 다시 개최되었고, 방송기술 관련 전시회나 세미나도 오프라인으로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기간과 규모 축소에 아쉬움이 있었지만, KOBA 2022도 성황리에 개최되었고 해외에서도 NAB, IBC 등 방송기술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또한, 베이징 2022 동계 올림픽과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등의 국제 스포츠 대회가 열렸고, 국내에서는 대통령선거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치러져 관련된 방송기술인들은 정신이 없던 한해였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코로나19의 여파와 전쟁 등으로 인플레이션의 악재가 발생하여 세계 경제 침체, 물가 폭등 등의 우울한 소식이 많았던 해라 언젠가 다시 되돌아보면 꽤 기억에 남을 만한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새해에는 지난해에 있었던 힘들었던 일들을 극복할만한 새로운 소식이 많이 있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을 가지면서 2023년 월간 ‘방송과기술’도 새롭게 다시 도약해보고자 합니다.

기술 트렌드 시야 확대
기술 트렌드의 전문가 그룹을 통해 방송 기술의 미래 방향과 현재 이슈 등을 지속해서 함께해 온 트렌드 리포트 세션을 강화하여 방송 트렌드에 좀 더 깊이 있고 다양한 방면으로 고민하고 제안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방송기술도 발전하는 기술 동향에 기민하게 반응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해야만 앞으로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방송기술과 ICT 기술 전반의 현상 해석 및 방향을 예측하여 방송기술의 인사이트를 넓힐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방송 이슈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그 이슈를 해석하며 같이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 또한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원사 방송기술 전문가 인터뷰 강화
방송기술 제작 현장에서의 각 분야의 현업 전문가분들의 노하우 및 전문가로 어떻게 성장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이야기 들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작 현장에서의 현장감과 전문가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통해 몰입감 있고 입체감 있는 제작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리뉴얼
기술이라는 딱딱한 영역의 특성에서 ‘방송과기술’의 디자인 구성을 최대한 변화를 주고자 합니다. 2022년의 표지는 회원사의 사옥을 소개하는 방법으로 변화를 주었었고, 2023년에는 표지 디자인에 변화를 주어 산뜻한 느낌을 드릴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내지에도 좀 더 캐주얼한 느낌의 디자인을 선택하여 기술의 주제를 다뤄 전반적으로 묵직한 느낌에서 부드러운 느낌의 디자인을 통해 변화를 주도록 하겠습니다.

티베트에 “걱정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라는 속담이 있다고 합니다. 지난 2022년은 어쩌면 우리에게 걱정을 많이 주었던 해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당장 우리에게 닥친 위기에 대해서 걱정만 하고 있다면 변화는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미래 비전을 위해서 계획하고 실행하고 실패해도 다시 계획을 수정하고 보완해 나간다면 분명 다시 기회는 찾아올 것입니다.

육십 간지의 40번째로 계(癸)는 흑색, 묘(卯)는 토끼를 의미하는 ‘검은 토끼의 해’라고 하며, 검은 토끼는 지혜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그 기운을 받아 2023년은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독자 여러분도 2023년에는 더욱 발전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기원하며, 다시 한번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편집진 소개
KBS 한석우_1KBS – 한석우 MBC 반영모_사진 100_80MBC – 반영모 SBS 김기태_1SBS – 김기태 아리랑 안재선_1Arirang – 안재선
CBS 김준수_1CBS – 김준수 BBS 양현우_1BBS – 양현우 김영광(obs)_1OBS – 김영광 YTN 박상주_1YTN – 박상주
EBS_편집위원_권은정(사진)_1EBS – 권은정 TBS 김진서_1TBS – 김진서 스카이라이프 김희동_5KTSkylife – 김희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