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Logic의 IBC 2025

TVLogic의 IBC 2025

6
0
IBC 2024에서의 TVLogic Booth
IBC 2024에서의 TVLogic Booth


IBC는 NAB와 더불어 전 세계 양대 방송 영상 장비 전시회의 축을 담당한다. NAB가 미주 쪽을 대변한다면, IBC는 Europe쪽을 대표하는 전시회인데, 참가 업체나 전시되는 양상을 보면 사뭇 다르다.

IBC는 RAI Convention Center에서 개최되는데, Convention Center의 모양만 봐도 Las Vegas에서 열리는 NAB와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AI 뒤편에 있는 Beatrix Park와 전시장 뒷면이 맞물려 있어 녹음을 볼 수 있고, 전시장 내에 연못이 있어 마치 중정(中庭)을 보는 듯하다. 올해 특별관이 추가되어 총 14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었으며, 언젠가 천천히 둘러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면 Hall마다의 특성이나 분위기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해보겠다. 확실한 것은, 올해는 그런 짬을 낼 수 없을 것이 확실하다.

여러 개의 전시관은 Hall로 구분되는데, TVLogic은 오랜 기간 Hall 10에서 전시를 진행하다가 2023년 Hall 12에서 전시를 진행한 이후, Hall 11에서 Booth를 선보이고 있다. 오래전에는 Hall별 전시되는 제품이나 참가 업체들이 비슷한 분야끼리 뭉쳐 있는 경향이 강했지만, 지금은 그 구분의 거의 무의미할 지경이다.

IBC 2025의 전시장 구성
IBC 2025의 전시장 구성

 

Joint Booth
TVLogic은 2024년부터 IBC가 개최되는 Netherlands의 TVLogic Dealer 社인 Aspectra 社와 일종의 Joint 형식으로 Booth를 운영하고 있다. 자칫 제품 전시와 제품 설명만으로 밋밋하게 채워질 수 있는 전시회이지만, 현지 Dealer 사와의 협력 덕분에 Champaign과 음료 및 다과를 제공하는 Bar가 운영되는 Europe 느낌의 Booth를 구성하고 있는 것.

작년 IBC 2024의 Booth. 천장에서 늘어뜨린 식물과 Bar 형태의 공간은 분명히 한국의 전시회 Booth와는 다르다
작년 IBC 2024의 Booth. 천장에서 늘어뜨린 식물과 Bar 형태의 공간은 분명히 한국의 전시회 Booth와는 다르다


Netherlands에 가서 시간을 보내다 보면 사람들의 키나 체격이 매우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큰 체격 덕인지 술을 전혀 못 한다는 Netherlands인이라도 웬만한 한국의 주당들보다는 술을 더 잘 견디니, Booth에서 그들과 같은 Rhythm으로 Champaign을 즐기지는 않기를 바란다.

올해 TVLogic은 Hall 11에 B38호에 자리를 잡았다. Booth 배치도를 보면 크게 4개의 table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편의상 Info Table, LXM Table, Field Monitor Table, 그리고 2K/FHD Table로 칭하도록 하자.

TVLogic Booth 조감도. Europe Dealer 사와의 Logo가 같이 표시되어 있다
TVLogic Booth 조감도. Europe Dealer 사와의 Logo가 같이 표시되어 있다
Hall 11의 Layout. B38은 통행로 2개와 맞닿아 있다
Hall 11의 Layout. B38은 통행로 2개와 맞닿아 있다


1
New Product

작년에 발표된 완전히 새로운 LXM Series를 비롯해, 촬영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소형 제품과 Cage 장착 제품들이 전시될 예정이다. 2K/FHD Table에는 Panel은 Full HD이지만 4K/UHD 신호를 입력받아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SVM Series가 전시되며 Rack에 장착 가능한 Rack Mountable Monitor들도 전시될 예정이다.

◊ LXM Table
12G 신호를 Quad Multiview로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을 자랑하는 LXM Sereis는 18”에서부터 55”까지의 다양한 Size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18”와 24” 제품은 최대 밝기에 따라 U와 P Series로 구분되는데, P가 붙어 있는 제품이 1,000nits 이상의 밝기를 가진 제품이다. 180U만 Full HD Panel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3840×2160의 4K/UHD Panel이 장착되어 있다. LXM Series는 완전히 새롭게 개발된 Mainboard를 공용으로 사용하기에 여러 기능은 크기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년 IBC 2024에서의 LXM Series 전시. 올해에는 55”를 제외하고 새로운 32” OLED Panel 탑재 제품의 Proto Type이 전시될 예정이다
작년 IBC 2024에서의 LXM Series 전시. 올해에는 55”를 제외하고 새로운 32” OLED Panel 탑재 제품의 Proto Type이 전시될 예정이다


LXM Series의 가장 큰 특징인 Quad View는 화면을 4분할하여 4개의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능이다. 최근에는 Multi Viewer Converter를 달아 대형 TV를 대신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12G 영상 4개를 방송 제작용 Quality로 동시에 띄워 한 번에 볼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한 강점이다. 12G뿐 아니라 6G, 3G도 혼용해서 Quad View 구성이 가능하며, SDI와 HDMI, SFP와 같은 다양한 입력 단자들의 조합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Quad View 상태에서 F9를 누르면 사분할 화면 개별적으로 Source 선택이 가능하다
Quad View 상태에서 F9를 누르면
사분할 화면 개별적으로 Source 선택이 가능하다
Color Standard 설정값
Color Standard 설정값


HDR Monitoring은 HDR Contents를 제대로 Monitoring 할 수 있도록 PQ, HLG, S-Log3 등의 EOTF를 탑재하고 있기에 가능한 기능이다. Color Space 설정, Video Range 설정과 함께 사용해서 HDR Contents의 확인이 가능한데, 녹화 당시의 Camera 설정에 맞게 영상을 확인할 수 있기에, 전문가용 Reference급 Monitor로 활용할 수 있다.

LXM 제품 후면부에 있는 단자들. 12G가 지원되는 SDI 입출력 단자 4Set 외에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LXM 제품 후면부에 있는 단자들. 12G가 지원되는 SDI 입출력 단자 4Set 외에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Processed Out Port는 일반 SDI Out 단자와 달리, LUT가 적용된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다. LUT가 적용된 영상을 출력하고 싶다는 사용자들의 꾸준한 요청에 화답한 것으로, 촬영 현장에서의 DIT 작업이 적용된 모습도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출력된 영상을 받아들이는 Monitor가 3G 제품일 경우를 대비하여 ‘12G를 3G로 Down 하여 출력’하는 기능도 내장되어 있다.

Capture & Overlay는 영상을 Capture 했다가 Live 영상과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이것은 똑같은 설정으로 다음 날 촬영을 이어갈 때와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Capture 된 Image와 Live Feeding Image를 비교하는 방법은 겹쳐 보이게 하거나 빠르게 전환해 깜빡이게 하는 것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Capture & Overlay 기능이 활용 설명
Capture & Overlay 기능이 활용 설명



LXM Table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은 OLED Panel을 탑재한 Proto Type일 것으로 예상된다. TVLogic은 다양한 크기의 OLED Panel을 제품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는데, 가장 먼저 선보이는 것이 32” Proto Type이다. 이것은 이미 올해 NAB 2025 때 전시된 바 있는데, 당연히 많은 관람객의 관심을 끌어냄과 동시에 TVLogic의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기회로 여겨졌다. 사진으로는 담을 수 없는 뛰어난 화질로 Post Production에서 반드시 갖춰야 할 제품으로 자리 잡기를 희망한다는 관계자의 바람도 들을 수 있었다.

NAB 2025에 전시되었던 32” OLED Proto Type 제품. 가장 큰 관심을 받았던 제품이다
NAB 2025에 전시되었던 32” OLED Proto Type 제품. 가장 큰 관심을 받았던 제품이다

 

◊ Field Monitor Table
F Series로 대변되는 5”, 7”, 10” 제품이 TVLogic이 말하는 Field Monitor의 전부였다. 그러나 최근 다수의 Mount Hole을 가진 Cage가 장착된 FM 제품이 새롭게 선보이며, 이른바 Field Monitor 영역의 식구들이 늘어났다. FM은 Field Monitor를 뜻하는데, Cage가 장착된 제품은 제품 보호는 물론이고 다양한 Accessory들을 Mount 하기에도 편리한 제품이다. 촬영 현장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기획된 제품이기에, 고휘도 Panel이 사용된 LXM-180P와 LXM-240P에만 Cage가 적용되어 있다.

NAB 2025에서의 Field Monitor Table. Cage가 장착된 LXM-240P-FM과 V-Mount로 전원 공급받아 작동하는 무선영상송수신 장치도 선보였다
NAB 2025에서의 Field Monitor Table. Cage가 장착된 LXM-240P-FM과 V-Mount로 전원 공급받아 작동하는 무선영상송수신 장치도 선보였다

20250819_IBC2025_New_16_SVM_183P_FM

NAB 2025에서의 Field Monitor Zone에 전시되었던 SVM-183P-FM. C-Stand 위에 올려진 상태로 Battery로 구동되며 무선영상송수신 장치를 Cage에 부착한 채 전시되었다
NAB 2025에서의 Field Monitor Zone에 전시되었던 SVM-183P-FM. C-Stand 위에 올려진 상태로 Battery로 구동되며 무선영상송수신 장치를 Cage에 부착한 채 전시되었다

TVLogic은 올해 IBC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Field Monitor들이 사용되는 듯한 상황을 여러 가지 부가 장비들을 통해 적극 재현할 예정이라고 한다. 관계자는 꼭 RAI Convention Center Hall 11. B38을 방문해서 어떤 상황이 재현되었는지 직접 확인해 주십사 부탁한다는 요청을 했다.

NAB 2025에서의 Field Monitor Table에 Camera에 Mount 된 채로 전시된 10.1” 1,400nits의 F-10H와 7” F-7HS
NAB 2025에서의 Field Monitor Table에 Camera에 Mount 된 채로 전시된 10.1” 1,400nits의 F-10H와 7” F-7HS

 

◊ 2K/FHD Table
사실 2K/FHD Monitor들이 전시될 Table이 올해 가장 큰 변화를 맞이하는 곳이다. 새로운 SVM Series가 등장하기 때문인데, 모든 SVM 제품들은 Full HD Panel을 가지고 있으면서 4K/UHD 영상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Rack Mountable Monitor 영역에서도 동일하다. R-5T와 R-7D는 Full HD Panel을 가졌지만 4K/UHD 영상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

IBC 2024에서 2K/FHD 제품 전시
IBC 2024에서 2K/FHD 제품 전시


SVM 제품은 그 근간을 LXM에 두고 있기에, 기존의 TVLogic Full HD 제품들이 가지고 있던 속도나 편의 기능들과는 차원이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영상 Source 전환 속도나 크게 개선된 Waveform, Vectorscope와 같은 계측기 화면, 그리고 PBP(Picture by Picture) 기능은 TVLogic 제품을 써왔던 고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욱 큰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VM Series의 근간을 이루는 183S, 243S, 323S
SVM Series의 근간을 이루는 183S, 243S, 323S

SVM Series는 기본적은 183S, 243S, 323S가 존재하며, 그 외에 13.9” Panel과 18” 고휘도 Panel을 탑재한 제품도 추가될 예정이다. 정확한 제품 Line-up은 IBC 2025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마치며
IBC는 세계 방송 영상 장비 전시회 중 큰 축을 담당하는 전시회다. 여러 가지 변수 속에서도 다시 꿈틀대기 시작한 Europe 영상 시장의 상황과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한 번 둘러볼 만한 가치가 충분한 전시회다. TVLogic뿐 아니라 IBC에 참가하는 모든 대한민국의 업체들이 큰 성과를 얻기를 희망해 본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