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방송·미디어분야 AI 혁신인재 양성 세미나 개최

2025 방송·미디어분야 AI 혁신인재 양성 세미나 개최

IMG_31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방송‧미디어 제작현장에 AI 기술을 확산하고 AI 융합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9월 10일 ‘2025 방송·미디어 분야 AI 혁신인재 양성 세미나’를 서울가든호텔 2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했다.

‘디지털·미디어 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마련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AI를 활용한 방송‧미디어 제작 혁신 사례 및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AI 대전환 시대에 방송‧미디어 산업인의 역할과 AI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세미나 현장에는 방송재직자 및 관련인 300여 명이 참석하며, 장소가 부족할 만큼 많은 인원이 AI로 인한 방송미디어의 변화에 관심을 드러냈다.
세미자 공간의 한편에는 KBS ‘버티고’, 도스트일레븐 ‘비디오스쿠버’ 등 AI 솔루션과 캐논과 소니, 파나소닉, ARRI, 에스엘알렌트 등에서 주요 방송장비를 전시 및 시연해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전시회도 진행하였다.

세미나의 축사에서 강도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방송‧미디어인들이 AI 기술 이해도와 제작 활용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 방송 AI 전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하며, 과기정통부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힘을 보태겠다고 언급했다.

세미나 축사 중인 강도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
세미나 축사 중인 강도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
세미나 VIP들이 방송사의 부스를 방문해 AI 제작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세미나 VIP들이 방송사의 부스를 방문해 AI 제작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자리를 가득 메운 참관객들
자리를 가득 메운 참관객들



먼저, 기조연설에서는 박구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방송산업과 AI 전환>을 주제로, 미디어 분야의 최신 AI 기술 발전 현황과 AI가 방송 제작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발표하고, 미디어 분야에서 심화하고 있는 해외 기업의 AI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 등을 모색하였다. 방송에서의 AI 활용은 활발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사 자체적으로 AI 콘텐츠의 품질 평가 기준과 관리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AI 활용은 일반인이나 예비 창작자, 전문 창작자 구분 없이 제작 기회와 창의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다만 한국전통스타일 영상 생성을 위한 데이터 개방과 모델 개발의 필요성도 설명되었다.

미디어 분야의 AI 제작 현황을 발표한 박구만 교수
미디어 분야의 AI 제작 현황을 발표한 박구만 교수
영상 생성에서 한국전통스타일 데이터의 부족에 대해 언급되었다
영상 생성에서 한국전통스타일 데이터의 부족에 대해 언급되었다

두 번째 분과인 ‘AI 저널리즘 제작 사례 발표’에서는 양효걸 도스트일레븐 대표가 MBC 선거방송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감성 몰입과 주제 전달력을 강화한 사례를 설명했다.
나이키의 광고에서 힌트를 얻은 이번 MBC 선거방송의 개표 직전 영상 제작에 대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던 영상기법도 AI를 활용해 수월하게 제작할 수 있었으며, 제작 관련 비하인드에 대해 발표되었다.

생성형 AI 제작을 주로 하는 도스트일레븐의 양효걸 대표
생성형 AI 제작을 주로 하는 도스트일레븐의 양효걸 대표

MBC 선거방송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상 제작에 대해 설명하는 양효걸 대표
MBC 선거방송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상 제작에 대해 설명하는 양효걸 대표


배상훈 연합인포맥스 본부장은 자체 개발한 AI 기반 뉴스 제작 온라인 체제 플랫폼인 ‘인포X’에 대해 소개하고 기능과 활용 성과를 소개하였다. 작금의 시대, 신문사는 위기를 맞고 있지만, 연합뉴스에서 작성되는 매일 3,000여 건의 기사는 AI를 활용하는 데이터가 되며, 이를 활용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는 연합인포맥스에 대해 소개되었다. 인포X는 보도자료, 기사, URL, PDF, 동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입력 소스를 바탕으로 아나운서 음성과 이미지가 결합한 짧은 동영상(숏폼)·뉴스 영상 제작 플랫폼으로 배상훈 본부장은 즉석에서 기사 링크를 통해 AI가 생성한 숏폼 영상 제작 과정을 시연했다.

풍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포X를 통해 영상 제작에 대해 설명한 배상훈 본부장
풍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포X를 통해 영상 제작에 대해 설명한 배상훈 본부장

세 번째 분과인 ‘AI 적용 방송프로그램 제작 사례 발표’에서는 최동은 KBS 감독과 이윤재 KBS 미디어기술연구소 팀장이 강연자로 나서 KBS에서 AI를 활용하여 다큐멘터리, 대하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작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윤재 팀장은 자체 개발한 AI 솔루션 ‘버티고’의 탄생 비화(?)와 현재까지의 발전 과정, 데이터셋 학습 현황 등에 대해 설명하였고, 한 번의 촬영으로 양산되는 숏폼의 조회 수와 같이 활용 예시를 들어 설명했다. 또한, 작년 일본 NHK <홍백가합전>에 적용되는 국내 방송기술의 해외 진출 성과도 공유하였다.

KBS의 AI 제작 현황에 대해 발표한 최동은 감독
KBS의 AI 제작 현황에 대해 발표한 최동은 감독
버티고 솔루션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발표한 이윤재 팀장
버티고 솔루션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발표한 이윤재 팀장


이어서 이종풍 EBS 기술기획부 부장과 최지영 AI플러스특임팀 차장은 올해 6월 방송사 최초, AI 기술만 활용하여 직접 제작한 <AI 단편극장> 사례를 발표하고, EBS가 올해 초 수립한 AI 혁신 비전 및 추진 방향도 공유하였다. 사내의 제작 정책에 따라 AI 툴을 처음 사용하면서 느낀 어려움과 난해함, 노력을 통한 극복 과정 등 AI 제작을 통해 누구나 느낄 경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방송국 내의 AI 제작 현황에 대해 솔직히 공유했던 시간이었다.

EBS의 AI 제작 경험을 공유한 최지영 차장
EBS의 AI 제작 경험을 공유한 최지영 차장
EBS의 AI 제작 비전에 대해 설명한 이종풍 부장
EBS의 AI 제작 비전에 대해 설명한 이종풍 부장


행사의 마지막 순서로 패널토론에서는 <콘텐츠 제작의 전환점–방송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주제로 이희대 광운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고 변문경 메타유니버스 대표, 전창배 국제AI윤리협회 이사장과 이용해 변호사(YH&CO)가 패널로 참여해 생성형 AI 시대 방송인의 역할, 책임과 기술·문해력 균형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중심적인 논의는 AI가 제작한 제작물은 저작권이 없지만, 이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진의 노력에는 AI 툴에 접속한 기록과 같이 증명할 수 있는 부분만 저작권으로 인정된다는 사실로, 전반적으로 아직은 AI 저작물에 대한 정확한 저작권 기준이 없다고 언급되었다.

IMG_3355

주요 전시 장비
IMG_3356

 소니 전시 부스, 베니스2, FX2, FX3 등 소니의 최신 카메라들을 선보였다
소니 전시 부스, 베니스2, FX2, FX3 등 소니의 최신 카메라들을 선보였다

IMG_3362

파나소닉 부스, PTZ 카메라와 이를 연동한 제작 솔루션을 선보였다
파나소닉 부스, PTZ 카메라와 이를 연동한 제작 솔루션을 선보였다

IMG_3373 IMG_3374IMG_3376IMG_3377IMG_3375

캐논 부스, 9월 10일 막 공개된 7K 풀프레임 시네마 카메라 EOS C50이 첫 선을 보였다
캐논 부스, 9월 10일 막 공개된 7K 풀프레임 시네마 카메라 EOS C50이 첫 선을 보였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