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정보보안 기술

인터넷 정보보안 기술

119
0

인터넷의 발전은 우리의 주변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넷으로 해외의 신문기사, 방송뉴스, 드라마 등을 접하는 것이 엊그제인것 같은데 이제는 당연하게 느껴진다. 아니 없으면 안되는 것으로 우리 생활에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만화의 주인공은 어디에서나 본부와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조그만 상자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는 우리의 휴대전화기가 그 일을 해주고 있다. 이처럼 기술의 발달은 생활을 이롭게 하고 윤택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항상 밝은은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199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진행된 국내의 정보화 과정 역시 많은 부작용(역기능)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상용서비스가 게시된 것은 1994년에 한국통신(지금의 KT)가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부터이다. 이제 겨우 17년 정도에 불과하며 단기간에 이러한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한 나라는 전세계에서도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호주와 같은 선진국의 경우에도 이제야 국가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NBN(National Broadband Network)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을 보면 국내 인터넷 인프라가 얼마나 잘 갖춰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훌륭한 인터넷 인프라 위에 많은 신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수준 높은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방송사 역시 이러한 좋은 방송용 플랫폼을 가만히 둘리가 없다. 방송사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다시보기 서비스 등을 게시하면서 새로운 수익모델을 삼기도 하며, 음성만을 전달하는 라디오의 경우는 방송사에서 경쟁적으로 스마트폰용 앱(App)을 개발하여 보급하면서 이제 라디오를 휴대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과거에는 방송수신기(TV, 라디오)를 소유한 사람만이 방송을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능을 포함한 휴대폰은 전체 DMB 단말기에서 71.4%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량도 3,000만대를 넘어섰다.

여기에서 주의깊게 보아야 할 단어가 있다. 바로 디지털(Digital)이다. 인터넷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Digital의 사전적 의미는 ‘숫자로 표시하는’이란 뜻이다. 즉 디지털의 핵심은 모든 데이터를 두 개의 숫자 ‘0’과 ‘1’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미 우리들은 디지털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이제 필름을 넣고 촬영하는 이른바 카메라는 구세대의 물건이 되버렸으며, 소장가치가 있는 물품으로 변했다. 대신 그 자리는 디지털카메라가 자리를 잡았다. 많은 사람들은 모니털의 그림, 동영상들이 사실 0과1로 이루어진 숫자들의 나열이라고 생각을 할수 있을까? 이것이 디지털의 힘이다. 모든 것을 0과 1로 숫자로 바꿔서 표현하는 디지털. 이러한 특성 때문에 데이터 교환 및 보관, 변경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디지털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재생이 가능하다. 인기좋은 예능프로그램을 디지털로 제작하면 방송은 물론, DVD 제작,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 동영상 Player에서의 재생이 약간의 변환으로 가능해진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디지털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기술이 요즘 문제가 되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던 역기능 때문이다. 디지털 기술로 대변되는 정보화의 역기능은 최근의 문제는 아니다.

댓글 없음

회신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