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연구위원 / 언론학 박사
ChatGPT가 던진 지금의 AI와 혁신
신기술 도입과 활용은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가장 혁신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가시적으로 혁신적인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산업 내 이목을 집중시킬 뿐만 아니라,...
스펙터클한 도시 연출, 미디어 파사드
도시 공간은 언제나 각양각색의 건축물과 조형물로 시각적인 즐거움이 가득하다. 도시에서는 특별한 경험을 하지 않아도 거리를 거닐며 주변 경관을 바라보는 것으로도 지루할 틈이 없다. 이는...
콘텐츠 IP로 경쟁력을 확장하라
지금은 콘텐츠 경쟁 시대이다. 각양각색의 플랫폼이 미디어 시장에 등장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국내외 미디어 사업자들은 자사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을 유입하기...
국내 OTT 시장과 서비스, 아듀 2020, 웰컴 2021
본래 OTT(Over The Top)는 셋톱박스 없이 인터넷을 바탕으로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 영상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초기 OTT에는 극장 개봉 후 상영이 종료된 영화나...
콘텐츠 산업의 주요 정책 동향과 특이성
국내 콘텐츠 산업은 매출, 수출, 고용 등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이런 성장세는 개선된 근무 여건과 변화된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개인 여가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연간 1인당...
느슨한 유대 속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밈(meme)
커뮤니케이션은 시대적 흐름과 상황에 따라 지속해서 변화해왔다. 근래 우리의 일상 속에서 커뮤니케이션은 항상 스마트 디바이스로 연결된 형태를 보인다. 특히 스마트폰은 몸에 늘 지니고 다니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뉴노멀(New Normal)을 위한 해외 서비스 사례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증이 확산하며 경제와 사회, 그리고 일상에서 크고 작은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코로나 일상은 이제까지 고수했던 낡은 방식들을 순식간에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방식으로...
코로나(COVID-19) 일상이 가져온 미디어 이용의 변화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전 세계에 유행처럼 퍼져나가며 많은 것들이 변화한 시기였다. 코로나 현상은 오프라인 공간에서 대인 간의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를 독려하며 이른바...
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
SF(공상과학) 영화는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미래의 모습을 묘사해왔다. 아마도 SF 영화는 다른 장르 영화보다 인간의 상상력이 더 많이 집약된 콘텐츠일 것이다. 주요 소재로...
인터넷 플랫폼 속 레트로 현상과 지상파 콘텐츠
지난 수십 년간 미디어는 다양한 콘텐츠에 사회적 가치관과 풍조를 담아내어 대중에게 전달해왔다. 미디어 콘텐츠는 시대적 관점에 따라 평가는 서로 달랐지만 다수가 함께 향유하고, 시대를...
IP망으로 확장된 지상파 방송 콘텐츠, 자이언트 펭TV
요즘 유튜브에서 범상치 않은 녀석이 등장하며 많은 화제를 낳고 있다. 그 화제의 주인공은 바로 EBS에서 기획한 디지털 콘텐츠 ‘자이언트 펭TV’의 ‘펭수’이다. 펭수는 재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