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는 평생하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방송기술인들이야 방송현장에서 많은 것을 보고 배우고 있지만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고, 알아야 할 것들과 생각의 깊이가 점점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합니다. 이에 시각 정보만이 아닌 감성과 지식의 보고인 책을 다루어보면 어떨까 싶어 방송과기술에서는 ‘책 속으로’ 를 통해 읽을 만한 책 소개와 함께 기술인이 직접 읽고, 그 소감을 독자와 공유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합니다. 지면의 부족으로 많은 책을 다루지는 못하겠지만 작은 도움이 나마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 |
||
중국 대륙을 종횡무진 가로질러 집필한 조정래 불후의 역작
정글만리(전3권)
조정래 지음
해냄 / 각권 13,500원
작품 속 등장인물처럼 중국에 체류 중인 상사원에게는 공감을, 실제 대중(對中)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들에게는 중국 비즈니스의 노하우를, 한일관계나 한중관계에 관심이 적었던 학생들에게는 역사적 자각을, 『태백산맥』 등 작가의 기출간 작품을 기억하는 독자에게는 향수를, 생동하는 소설을 읽는 기쁨을 원하는 대중에게는 가슴 벅찬 감동을 안겨준 조정래의 최신 장편소설
![]() |
||
준비 없이 오래 사는 것은 재앙이다
당신의 노후는 당신의 부모와 다르다
강창희 지음
쌤엔파커스 / 정가 15,000원
수명은 늘고 퇴직은 빨라진 지금, 늘어난 30년을 어떻게 살 것인가? 혹시 막연한 불안감으로 노후를 바라보고만 있지는 않은가? 평균수명 100세 시대, 이제 노후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한민국 최고의 노후설계 전문가인 저자가 풍요롭고 가치 있는 후반 인생을 사는 법을 담은 이 책은, 100세 시대를 사는 모든 이들을 위한 지침서다.
![]() |
||
누구에게도 묻지 못했던 사진에 관한 87가지 질문
좋은 사진을 만드는 김주원의 DSLR 사진 입문
김주원 지음
한빛미디어 / 정가 22,000원
항상 독자와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진가 김주원이 사진 입문자와 사진 초보자의 입장에서 사진에 관한 거의 모든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주는 책. 이 책에 나온 질문들은 바로 독자 여러분이 하고 싶은 질문들이다. 김주원 작가의 확실하고 진솔한 대답이 독자 여러분의 궁금증을 제대로 해결해줄 것이다.
![]() |
||
불세출의 영웅들이 펼치는 흥망성쇠의 드라마
난세에는 영웅전을 읽어라
김욱 지음
쌤엔파커스 / 정가 15,000원
이 책은 수천 년 전 현재와 닮은 생존경쟁 무대에서 살아남은 승자들의 이야기인 《영웅전으로부터 인간 존재와 세상에 대한 탁월한 통찰, 그리고 이를 통해 21세기를 살아가는 리더들이 갖추어야 할 불변의 지혜를 전해주는 책이다. 이 난세에, 이 책은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은 통찰, 진정한 리더들이 반드시 참조해야 할 가치를 전해줄 것이다.
![]() |
||
소셜미디어의 새로운 가치를 찾는다
공유와 협력,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패러다임
최영 지음
커뮤니케이션북스 / 정가 21,000원
소셜 미디어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엇인가? 공유와 협력이다. 공유는 어떻게 실현 가능한가? 보편적 참여가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협력은? 보답에 대한 기대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뉴미디어 시대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저자는 소셜 미디어 시대 새로운 매체의 이용 동기와 가치를 찾아보고, 다양한 학문적 시각에서 개인·사회·조직에 주는 의미를 알게 한다.
![]() |
||
세계 최고 포토저널리스트의 리터칭 노하우
스콧 켈비의 사진가를 위한 포토샵 CS6
스콧 켈비 지음 / 홍성희 역
한빛미디어 / 정가 23,000원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포토샵 책의 저자인 스콧 켈비는 디지털 사진가를 위한 사진 보정 및 리터칭 노하우를 포토샵 CS6 버전으로 이 책에 모두 풀어냈다. 포토샵 기능은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훨씬 더 정교하고 섬세해지는데, 특히 이번 CS6 버전은 사진 보정 기능이 매우 강력해졌다.
▩ 책을 읽고 나서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오주석 지음
최승용 BBS 라디오 기술부
어렸을 적엔 경복궁 한 쪽 곁에, 지금은 용산에 위치한, 국립 중앙박물관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역사 속 문화재들을 대부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밖으로 나오면 경복궁을 바로 둘러볼 수 있어서 소풍삼아 여러 번 찾았던 기억이 있다.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문화재들 중에서 옛 고서화나 그림들을 보면서 아련하고 묘한 감흥을 느껴본 경험이 있다. 은은한 조명으로 마음이 차분해져 생긴 안락함 때문인지, 아니면 오래된 유물들을 모아 전시해 놓은 박물관이 주는 특유의 분위기 때문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노란 조명아래 펼쳐진 옛날 그림들 속에서 무엇을 들여다보았던 것일까!
조선 시대의 화가들은 시와 음악에도 능하여 그림 속에 시를 녹여내고, 시 속에 화상을 불어넣으며, ‘음악은 침묵이라는 하얀 백지장 위에 소리라는 붓으로 그려낸 그림’ 이라는 말에서와 같이 음악 또한 그림과 다른 것으로 보지 않았다. 옆의 그림은 단원 김홍도가 그린 <주상관매도>라는 그림이다. 의미는 ‘배 위에서 매화를 보는 그림’ 정도 될 것이다. 얼핏 보아도 다소 퀭한 느낌을 주는 심심한 그림으로 보인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꽉 찬 느낌을 준다. 이처럼 단출하지만 가볍지 않게 그림이 보이는 우리가 여백을 볼 줄 알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화폭에 그린 그림은 얼마 되지 않지만 나머지 부분을 여백으로 처리함으로써 끝을 알 수 없는 무한한 깊이를 생성하고 있다. 산의 경계도 없고 물의 경계도 없다.
이 책에서는 ‘물 아래 하늘이고 하늘 위가 물이로다’ 라는 표현으로 이 그림에서의 여백을 설명한다. 여백은 동양에서만 볼 수 있는 회화 기법이다. 아무것도 그려 넣지 않았지만, 오히려 그려진 대상들보다 더 깊은, 심오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듯하다. ‘여백을 음미하기 위해서 형상을 그린다’ 는 말이 있을 정도로 동양에서 여백이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사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여백을 많이 품고 있는 사람은 그 마음의 깊이로 인해 외풍에 쉽사리 흔들리는 일이 적을 것이고, 언제나 한결같은 마음자리를 갖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그 안에 어떤 그림을 그려 넣더라도 여백 안에서 아름다운 그림으로 형상화해 낼 수가 있는 것이다.
마음에 그림을 그리는 일은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여백으로 형상을 보듬어 안는 일은 쉽지 않다. 성직자들의 기도를 통한 ‘마음 비우기’ 또한 스스로 마음속 심연의 여백을 끄집어내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여백이 우주의 질서를 품고 있음을 지각할 때, 침묵의 무게도 비로소 감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들 한 사람, 한 사람이 얼마나 존엄한 존재들인지를 재인식하여 스스로의 가치를 폄하하는 일을 삼가야 한다. 그러면 내면의 심성을 조용히 관조할 수 있게 된다.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우리는 과연 얼마나 즐기며 살고 있는가!! |